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Tunneling
- 쿠버네티스
- argocd
- helm
- 워커노드
- vue3
- elasticahe
- helm-chart
- cloud controller manager
- redis oss
- AWS
- ChatGPT
- Certbot
- 인프런
- Docker
- multibranch
- RDS
- datagrip
- sshtunneling
- port forawrding
- ElastiCache
- kaniko
- 인프런강의
- ssh
- Kubernetes
- ingress-nginx
- k8s
- jnlp
- EC2
- ssafy #싸피 #ssafy 12기 #싸피 12기 #ssafy 합격 #싸피 합격 #합격 후기
- Today
- Total
목록2025/05/11 (2)
처누

이번 프로젝트는 MSA환경이기 때문에 각 브랜치 별로 jenkins 파이프라인을 작성하기로 계획했다.특정 브랜치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, 해당 브랜치에 대해서만 CI/CD가 될 수 있도록 시도해보자!0. 사전 설정플러그인 설치MultiBranch Action Triggers PluginMultibranch Scan Webhook TriggerPipeline: Multibranch with defaultsJenkins URL 변경Jenkins 관리 - 시스템 - Jenkins Location에서 URL 변경해주자.기본값은 http://url/jenkins로 돼있을텐데 Ingress에서 설정한 Jenkins host로 변경하면된다.GitLab Server 수정Jenkins 관리 - 시스템 - GitL..

Jenkins 설치 전 고려했던 사항워커 노드 설정할 때 최적화 중 아래와 같이 kubelet/config.yaml 설정을 했다./var/lib/kubelet/config.yaml아래 내용 추가cpuManagerPolicy: staticreservedSystemCPUs: "0"해당 설정은 Jenkins Pod에 고정된 CPU(Core-Pinning)를 적용하기 위해 설정했다. 이 설정은 Guaranteed QoS 클래스 + static policy 조건을 만족해야 작동한다. 즉, Jenkins Pod를 Guaranteed 클래스로 만들고, 고정 CPU 코어를 할당해야 kubelet이 core pinning을 해준다.근데 여기서 고민이 생겼다!Jenkins는 일시적인 부하가 생기게 되는데 고정된 CPU를 ..